top of page

#9 회원 별 상담 시스템 Ch.3-2 재활/교정 고객(상체)

  • 작성자 사진: By 주상화
    By 주상화
  • 3월 25일
  • 3분 분량

최종 수정일: 3월 25일

#6 회원 별 상담 시스템 구축 방법 Ch.2 다이어트 고객
#9 회원 별 상담 시스템 Ch.3-2 재활/교정 고객(상체)

대표님! 드디어 통증이 있거나 재활이 필요한 고객들의 상담 시스템 방법을 라포에서 전격 공개합니다 :)


이번 시간은 바로 어깨와 목...문제가 많은 고객들을 효과적으로 평가할 수 있는 방법입니다!

목과 어깨는 많은 사람들이 겪고 있기 때문에 제대로된 평가를 센터에서 해줄 수 있다면, 회원들의 만족도는 치솟겠죠!? 그것도 모든 강사님들이 동일하게 해준다면? 더 치솟겠죠!!


그러면 역시 먼저 어깨 부터 가시죠!


 

✅ 어깨


1. 어깨 가동성의 중요성


 💡 거북목 자세와의 연관성


거북목에 노출된 경우에 어깨 가동성을 확인해보았어요! 그런데, 정상적인 사람과 비교했을 때 외회전의 각도가 매우 낮아졌다는 사실! 알고 계셨나요? 대부분 고객들에게 노출되어 있는 거북목. 이제 무조건 외회전 가동성을 평가해야겠죠!?


출처(Cools et al., 2014 (Journal of Shoulder and Elbow Surgery)

“Forward shoulder posture alters muscle activation patterns during shoulder motion.”


거북목인 사람들은 무조건 어깨 가동성 평가를 해야 합니다
거북목인 사람들은 무조건 어깨 가동성 평가를 해야 합니다

💡 견갑골 움직임의 문제


어깨충돌증후군과 같이 어깨의 가장 흔한 질환의 원인은 견갑골의 움직임 이상적으로 나오지 않는다는 사실을 알고 계셨나요? 논문에 따르면, 견갑골의 기능적 움직임은 상완골의 움직임과 긴밀히 연결되어 있으며, 어깨 가동성 제한은 견갑골의 상방회전 기능 저하 및 비대칭적인 움직임을 유발한다고 합니다! 게다가, 견갑골의 외전과 굴곡 시 견갑골의 리듬이 깨지면 회전근개 손상 및 충돌 증후군으로 이어질 가능성도 높아진다는 사실!


출처(Scapular dyskinesis and its relation to shoulder injury)


어깨를 올릴 때 찝히는 이유는 견갑골이 같이 위로 움직여지지 못하기 때문이에요
어깨를 올릴 때 찝히는 이유는 견갑골이 같이 위로 움직여지지 못하기 때문이에요

💡 운동 수행 능력 저하


숄더프레스, 벤치프레스 등의 어깨와 팔 운동에서는 어깨의 움직임이 필수로 필요하죠. 만약 어깨의 가동성이 제대로 확보되지 못한다면 어떻게 될까요? 제한된 움직임을 보상하기 위해서 다른 관절 특히, 흉추나, 허리 그리고 목 등의 관절이 대체하게 되고 그것이 오랫동안 유지된다면 다른 관절의 문제를 야기하고 운동수행 능력 또한 저하될 수 있죠. 센터에서 체계적으로 고객들의 평가를 해야 하는 이유이죠!




2. 어깨 가동성 평가 방법


💡 어깨 내회전 가동성 평가


1️⃣ 누운 상태에서 어깨와 팔꿈치를 90도로 구부린다.

2️⃣ 주먹을 쥔 상태에서 팔꿈치가 내려가지 않도록 고정하고 내회전 동작을 수행한다.

3️⃣ 스마트폰 측정 어플이나 각도기를 통해서 전완의 각도를 측정한다.

어깨 내회전 가동성 평가
어깨 내회전 가동성 평가

💡 정상 가동 범위


어깨 내회전 정상 범위는 남녀에 따라 조금 차이가 있어요!

성별

정상 가동 범위(각도)

남성

70도~80도

여성

80도~90도

📌  만약 내회전 가동 범위가 70도 미만이라면 제한이 있을 가능성이 높고, 이는 어깨 충돌 증후군, 회전근개 기능 저하, 상부교차증후군(거북목 자세와 연관) 등과 관련될 수 있어요!


💡 어깨 외회전 가동성 평가


1️⃣ 누운 상태에서 어깨와 팔꿈치를 90도로 구부린다.

2️⃣ 주먹을 쥔 상태에서 팔꿈치가 뜨지 않도록 고정하고 외회전 동작을 수행한다.

3️⃣ 스마트폰 측정 어플이나 각도기를 통해서 전완의 각도를 측정한다.


A와 같이 외회전 가동범위를 측정할 수 있어요
A와 같이 외회전 가동범위를 측정할 수 있어요

💡 정상 가동 범위


어깨 외회전 정상 범위는 남녀에 따라 조금 차이가 있어요!

성별

정상 가동 범위(각도)

남성

80도~100도

여성

90도~110도

📌  만약 외회전이 80도 미만으로 제한된다면 어깨 관절의 캡슐 구축, 회전근개 단축, 견갑골 움직임 제한 등의 문제가 있을 가능성이 높아져요!



✅ 목


1. 목 가측굴곡 가동성의 중요성


💡 자세 불균형과 통증


목 가측굴곡의 제한은 머리와 목의 정렬에 영향을 주어 자세 불균형을 초래할 수 있고, 머리가 삐뚤어져 있는 외형적 문제가 발생할 수 있고, 이는 근육의 과도한 긴장과 통증을 유발하며, 특히 상부 승모근의 경직으로 인해 문제가 발생합니다! 게다가 척추의 정렬을 완전히 깨트릴 수 있죠..


상부승모근이 경직되면 거북목까지 만들어 낼 수 있죠…
상부승모근이 경직되면 거북목까지 만들어 낼 수 있죠…

💡 기능 저하와 일상 생활의 영향


목 가측굴곡의 제한은 일상생활에서의 움직임과 기능에 영향을 미칩니다. 예를 들어, 주변을 살피거나 어깨 너머로 뒤를 볼 때 목의 움직임이 잘 나오지 않거나, 상부 승모근의 경직 등으로 인해 목의 회전이나 신전, 굴곡 동작에도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죠!


상부승모근의 경직은 목의 가측굴곡을 제한시킬 수 있어요!
상부승모근의 경직은 목의 가측굴곡을 제한시킬 수 있어요!

2. 목 가측굴곡 가동성 평가


목 가동성 평가는 어떻게 할 수 있을까요!? 바로 알려드릴게요!


1️⃣ 앉은 상태에서 목을 일자로 정렬시킨다.

2️⃣ 양쪽 어깨가 올라가지 않는 상태에서 목을 옆으로 구부린다.

3️⃣ 각도기 또는 앱을 사용해서 척추를 기준으로 각도를 측정한다.


앞 모습으로 코 라인을 기준으로 각도를 측정하셔도 무방해요 🙂
앞 모습으로 코 라인을 기준으로 각도를 측정하셔도 무방해요 🙂

3. 정상 가동 범위


목 가동성 정상 범위는 남녀 같아요!

성별

정상 가동 범위(각도)

남성

45도

여성

45도

📌  43도 이하로 나오면 거북목, 승모근 등의 경직 그리고 척추 정렬의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고 합니다!


 

☝️ 결론!


센터를 운영하는 대표님^^ 소속 강사들이 하체부터 상체 관절을 동일하게 같은 방식으로 평가해준다면 고객들의 만족도는 어떻게 될까요? 강사에 의존한 비즈니스가 아닌 센터 시스템에 의존한 비즈니스를 꼭 대표님께서 만들어주세요!


그렇다면 센터의 성장은 무조건이랍니다 🙂


라포는 센터의 성장을 돕습니다! 💡







 
 
 

Comments


라포를 통해 차원이 다른 회원 관리 경험을 제공하고 다른 센터와의 경쟁에서 살아남고 있는 센터들의 얘기를 확인해보세요.

(주)머스트무브

사업자 등록번호  :  119-88-01131   I   대표  :  주상화  

서울 강남구 선릉로 529 함양재빌딩 2층, 2011호 머스트무브

​고객문의  :  머스트무브 카카오톡  플러스 채널(운영시간 9:00~18:00, 주말/공휴일 제외)

bottom of page